열린세상

 

텔레비전의 광고를 볼 때마다 나는 무선청소기를 사용하고 싶었다. 
그러나 전기 청소기가 있는데 새삼스럽게 욕심을 내는 것 같아서 사기를 머뭇거렸다. 아주 많이 불편한 것도 아닌데 줄을 끌고 청소기를 돌리자니 왠지 모르게 손이 쉽게 가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면서 무선청소기를 사고 싶었다. 때마침 아들이 새 아파트에 입주할 때 가전을 바꾸자고 해 무선청소기를 들여놓게 됐다. 
고마운 아들 생각을 하면서 신나게 청소를 하고, 줄이 없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자꾸 청소기를 든다는 사실에 놀라웠다. 아무튼 집은 나날이 깨끗해지고 나는 청소가 즐거운 사람으로 바뀌었다. 
중학교 때 아버지가 독일제 만년필을 주신 적이 있다. 잉크가 줄어드는 것이 투명 유리관으로 보이는 자줏빛 만년필은 애장품 1호가 됐다. 그 만년필을 사용하기 위해 필기를 자주 하고 공부를 충실하게 했다. 도구가 나를 즐겁게 해주니 그 과목 자체도 좋아졌다. 
새 청소기가 생기고부터 하기 싫던 청소에 재미가 붙고 집에서 청소기 돌리는 소리가 자주 들리게 됐다. 그러나 청소를 한 후 먼지를 매회 버려야 하는데 나는 그냥 두고 사용했다. 
어느 날 청소기 돌아가는 소리가 달라졌다. 누름 버튼을 잡고 이동을 하면 ‘후이잉’ 하고 달리는 소리가 나는데, 그날 따라 ‘후이잉~타르륵’하고 끊어지고 또 그러기를 반복하는 것이다. 나는 충전이 덜 돼서 그런가 하고  이틀이 지나 다시 해봐도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분명 고장은 아닌 것 같은데. 접촉 불량인가 하며 만져 보다 망가뜨릴까 싶어 아들이 오기만 기다렸다.  
 그 주 토요일에 딸이 왔다. 고장 난 수도꼭지와 샹들리에 고친 후 고장 난 청소기를 내밀자 딸아이는 분해를 시작했다. 갈그작거리는 소리가 들리더니 다시 조립을 해 청소기를 돌리니 ‘후이잉’하고 제대로 소리가 난다. 
“어떻게 했어?”
“이물질이 꼈네요.”
“이물질…”
나는 이물질이라는 말을 듣자마자 현관 앞에서 아들을 기다리던 노인이 생각 났다. 자신이 쓸모가 없는데 살아서 뭐하나 싶다고, 매끈한 벽면에 툭 불거진 돌 같다고 그냥 일찍 갔으면 좋겠다고 그런다. 몇 해 전 겨울에 눈이 온 날 계단에서 미끄러져 고관절을 다치더니 재활센터에서 6개월을 보내고 돌아왔다. 그 후로 내내 지팡이에 의지하고 외로운 삶으로 이어진다. 아들과 함께 살지만 아들이 친구가 될 수도 없고, 아무하고나 편하게 잘 놀지도 못하는 분이다. 지나치게 추워도 나가기가 어렵고, 더워도 견디기가 어려우니 요즈음 가끔 아파트 현관 창에서 밖을 내다보고 있다. 
어느 한 장면도 우리네 미래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는 입장인데, 92세 내 어머니는 홀로 집을 지키면서 자식들이 들락거리기를 한없이 기다린다. 다소의 자유가 주어지면 외로움이 크고, 한 집에서 가족과 지내면 쌍방이 숨막힐 듯 하니 현실적으로 노인 문제가 보통 일은 아니다.    
이 시대에 살면서 가족에 대한 사랑이 어느 만큼 일 때 무리 없이 잘 돌아가는 청소기처럼 느껴질까. 노인이 ‘불거진 돌, 이물질’이란 느낌이 들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그 노인의 아들은 효자다. 어쩌다가 내가 고운  옷을 입고 외출을 하면 자신의 어머니는 나 같은 옷을 못 사드렸다고 안타까움을 드러낸다. 자신의 아내를 들먹여야 하는 입장인 것 같은데 오직 어머니에게 마음이 가 있다. 본인은 ‘불거진 돌’처럼 느껴질 수 있고 다른 가족은 청소기의 이물질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이 집이나 저 집이나 시대의 변화가 커서 전통을 고수하고 원만하게 살기가 힘이 든다. 그래도 기도를 마치고 나면 사랑이 비 오듯 하지는 못해도 어머니가 있는 일상의 삶이 돌아간다. 이물질 꺼낸 청소기처럼.  

 

저작권자 © 한국아파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