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관리 및 IT인프라 개선방향 <69>


 

최근 언론에서는 불량 불꽃감지기를 납품한 사실이 확인됐다는 사실과 함께 모 회사 불량 불꽃 감지기가 2006년부터 원전 및 각종 문화재 등 2,600여 곳에 2만개 이상 설치된 사실이 확인됐다. 당연히 이 모든 제품에는 기술원의 검정필증 스티커가 붙어 있었다.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은 국내 유일의 국가공인 소방제품 검정기관으로 기술원의 승인과 검정 없이는 소방제품의 제조와 판매가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술원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절실하게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경찰 수사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체는 검정 통과 후 실제 판매할 때는 내용물을 불량 제품으로 바꾸는 방식 즉, ‘속갈이’를 했고 기술원에서는 이를 파악하지 못했다. 물론 사전 승인과 검정이 중요하지만 더욱 더 중요한 것은 바로 선진국처럼 사후관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사전검정이 거의 없지만 시중에 파는 제품을 임의로 구입해서 검사하고 그 내용을 통해 조치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소방 제품에 대해 내구연한도 없어 설치한 뒤 10년 넘게 방치되곤 한다. 제조업체에서 이런 사전 검증의 허점을 이용해 실제 테스트 때 최상의 제품으로 통과하고 납품에서는 변형 제품을 유통시킨 결과 현재 이 제품이 설치돼 있는 곳은 정상 기능을 구현하는 제품으로 다시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
불량 불꽃 감지기 사례를 적시한 이유는 아파트에서 CCTV, 주차 차단기 등의 IT 제품을 구축하는 공사를 하면서 최저가를 주장하다 보니 입찰 참여사 역시 어쩔 수 없이 입찰 참여는 중간 정도의 사양으로 하고 실제 시공 시에는 이런 저런 자재 및 기타 제품군을 최대한 사양 변경해 구축하는 사례가 많이 있다. 이는 늘 강조하는 입찰의 방법, 종류 등에 있어 구축해야 할 제품을 단지에서 표준으로 지정하지 않거나 일부 제품에 대해서만 확정하고 포설 방식 및 구현 방식 등에 대해 업체에 일임하는 경우에 있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실례로 300여 개의 CCTV 카메라가 동축 케이블로 연결돼 있는 단지가 있었다. 물론 카메라와 녹화장비 간의 거리는 짧게는 50m, 길게는 250m 이상도 있었고 그 성능 역시 현저하게 낮아 검색할 경우 인식할 수 없을 정도다. 이에 전체 시스템을 HD급으로 업그레이드한다는 전제하에 1, 2단계 적용 시스템을 통해 단계적으로 예산 부분까지 감안해 컨설팅을 제공했다. 하지만 한 시공업체에서 기존 케이블망을 이용하는 200만화소급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고 강력하게 주장하고 300여 개 숫자도 비슷하게 맞출 수 있다고 입주자대표회의를 설득해 추진하려 했었다. 필자 회사에서 검토한 제출 자료는 그야말로 최저가 중에서도 극 최저가 방식으로 구현을 하겠다는 것이고 가장 중요한 녹화 기능 부분에서는 화질을 배제하고도 7일 이상 녹화가 불가능한 방식이었다. 다행히 입대의에서 필자의 의견을 반영해 결과적으로는 사업 추진이 보류됐지만 만약 그대로 강행했다면 약 2억이 넘는 예산을 투자하고 효과는 5,000만원도 볼 수 없는 시스템이 구축됐을 것이다.
입대의 또는 관리사무소에서 단순하게 수주에 집착해 공짜 또는 저가의 예산을 제시하는 업체 들의 자료에 대한 타당성과 객관성을 반드시 검증해야 한다고 말한다. 절대로 세상에 공짜로 사업이 이뤄질 수 없고 무엇보다 저렴하게 단지에 들어올 경우에는 보이지 않는 무언가로 결국 단지에 피해가 돌아온다.
저작권자 © 한국아파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