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LH, 광주광역시 쌍촌아파트 시범사업

사례 1: 영구임대아파트에서 경증치매를 앓고 있는 아내와 함께 생활하는 80대 어르신은 외출 시 한결 마음이 가볍다. LH와 연결된 스마트 서비스의 하나로 긴급SOS(응급벨) 서비스를 통해 위기상황을 알릴 수 있고 자신의 동선을 알려줘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당국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사례 2: 생활패턴 모니터링을 통해 영구임대아파트에서 거주하는 70대 어르신이 평소와 달리 움직임이 없는 미활동 상태로 감지되면, 돌봄 관제 담당자가 보호자와 함께 병원 동행 등 조기 대응에 나서게 된다.

세대 스마트 돌봄 기기 설치(왼쪽),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어르신이 응급벨을 사용하는 모습(오른쪽)
세대 스마트 돌봄 기기 설치(왼쪽),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어르신이 응급벨을 사용하는 모습(오른쪽)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고령의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고령자 맞춤형 스마트 돌봄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우선 광주광역시 쌍촌 영구임대아파트에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고령자, 장애인을 대상으로 6종의 스마트 돌봄 서비스를 24시간 제공하는 시범사업에 나선다.

6가지 서비스는 ▲24시간 응급관제 ▲응급벨 대응 ▲외출 시 위치 확인 ▲쌍방향 의사소통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일상생활 패턴 예측·대응 등이다.

이를 통해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 대응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활동, 건강, 수면 등 개인별 생활패턴 데이터를 분석해 위기상황에 사전 대응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업을 위해 국토부는 영구임대아파트 시설에 대한 총괄지원, LH는 스마트 돌봄 플랫폼 설치 예산을 지원했고 광주서구청은 돌봄 서비스 운영을 담당했다. (사)복지마을은 스마트 돌봄 기기를 개발, 설치했다.

이 밖에도 국토부와 LH는 고령자 주거복지를 위해 임대아파트 돌봄을 함께 제공하는 ‘고령자복지주택’을 지자체 공모를 통해 대상지를 선정하고 올해 2,260세대를 공급 완료했다. 2025년까지 1만 세대를 공급할 계획이다.

고령자복지주택 내 공공임대주택에는 건설비의 80%를 지원하고, 문턱제거, 안전손잡이 등의 무장애(barrier-free)설계를 적용해 어르신들이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게 된다.  

김흥목 국토부 주거복지정책관은 “이번 스마트 돌봄 시범사업은 임대주택에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을 덧입혀 맞춤형 주거복지서비스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축적된 일상생활 패턴 등에 대한 빅데이터를 평면 설계, 단지 배치, 복지서비스, 시설개선 등에 적용해 임대아파트를 질적으로 개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아파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