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노동자의 현실>> 우리도 행복하게 일할 수 있을까 |주택관리 노동자의 구성과 특징 <9>

Ⅱ직종별 고용 현황
☞ 지난 호에 이어

3. 미화원

미화원은 거리환경 미화원, 건물 미화원, 굴뚝환경 미화원 등 다양하게 세분할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건물 미화원, 즉 공동주택 미화원에 한정해 논의한다. 공동주택 미화원은 실내, 현관, 복도, 승강기, 계단, 화장실 등을 청소기구와 약품을 사용해 청소하고 실내 비품 등의 청결 상태를 유지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또한 휴지통 등을 비우고 세척하며 전구 교체, 비누나 휴지 등 소모품을 보충하는 업무도 수행한다. 다음 표는 고용보험 피보험자 자료에서 발췌한 고용 현황인데 <표 1>의 40만1,261명과 차이가 나는 것은 <표 1>의 경우 고용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인력까지 모두 포함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앞의 표를 보면 미화원의 경우 전형적인 성 편중 직업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종사자 대부분이 임시 근로자인 것으로 추정되며, 대다수가 용역업체에 소속된 간접고용 근로자인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기존 발표되는 통계치에서 이러한 사실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4. 시설관리직 직원

공동주택 관리에 있어 시설관리직은 여러 직종을 아우른다. 즉 공조냉동기능사, 전기기사, 소방설비기사, 전기기능사, 보일러취급기능사 등 다양한데 본 장에서는 비교적 자료 확인이 용이하고 법령으로 반드시 선임하게끔 돼 있는 안전관리자 고용 현황에 대해 살펴본다. 연도별 안전관리자 고용현황은 다음 표와 같은데 과거에 비해 대행 선임의 비율이 자체 선임보다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안전관리자의 경우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비정규직이 전체 근로자의 절반을 넘어서는 등 고용 안정성이 매우 취약한 편이다. 다음 장에서는 안전관리자의 정규직·비정규직 고용 형태 등과 이로 인해 파생하는 문제점을 살펴본다.

저작권자 © 한국아파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