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수의 문화답사

 

◈창덕궁 탄생의 역사적 배경
조선 개국 후 규모가 큰 경복궁이 창건됐는데도 태종이 새로운 궁궐을 세운 까닭은 무엇일까?
태종은 경복궁의 형세가 좋지 않기 때문이라고 했으나 실질적인 이유는 다른 데 있었던 것 같다. 두 번에 걸친 왕자의 난으로 정적 정도전과 이복동생들을 죽이고 왕위에 오른 태종으로서는 그 피의 현장인 경복궁에 기거하는 것이 꺼려졌을 것이다. 창덕궁이 세워짐으로써 조선왕조의 궁궐 체제는 법궁-이궁의 양궐 체제가 된다.

◈동궐도(東闕圖)
국보 제249호.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체 모습을 그린 가로 576㎝, 세로 273㎝의 큰 그림. 열여섯 폭의 비단에 동양화와 서양화의 기법을 모두 활용해 아름답게 채색한 이 그림은 1826년에서 1830년 사이에 궁중 화가인 도화서 화원들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뿐 아니라 다리와 담장, 괴석까지 실제 모습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각 건물의 이름도 기재해 궁궐 연구와 복원작업에 결정적인 자료가 되고 있다. 동궐이 가장 번성했던 시절을 기록한 그림으로 예전의 영화를 재현하고 있다.

◈돈화문(敦化門) 일원
창덕궁의 정문인 돈화문은 1412년(태종 12)에 건립됐다. 창건 당시 창덕궁 앞에는 종묘가 자리잡고 있어 궁의 진입로를 궁궐의 서쪽에 세웠다.
2층 누각(樓閣)형 목조건물로 궁궐 대문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이며 앞에 넓은 월대를 둬 궁궐 정문의 위엄을 갖췄다.
돈화문은 왕의 행차와 같은 의례가 있을 때 출입문으로 사용했고, 신하들은 서쪽의 금호문으로 드나들었다. 원래 돈화문 2층 누각에는 종과 북을 매달아 통행금지 시간에는 종을 울리고 해제 시간에는 북을 쳤다고 한다.
돈화문은 임진왜란 때 전소됐다가 광해군이 즉위한 이듬해인 1609년에 재건됐으며 보물 제383호로 지정돼 있다.


◈금천교
예로부터 궁궐을 조성할 때에는 궐 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명당수를 건너게 했다.
이 물은 궁궐의 안과 밖을 구별해주는 경계 역할을 하므로 금천(禁川)이라고 하며 창덕궁의 금천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흘러 동쪽 궐 밖으로 빠져 나간다. 1411년(태종 11) 금천에 다리를 놨는데 비단처럼 아름다운 물이 흐르는 개울에 놓인 다리라 해 ‘금천교’라 불렀고 현재 궁궐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돌다리로서 2012년 보물 제1762호로 지정됐다.

◈아무나 칠 수 없었던 신문고
금천교를 지나면 진선문(進善門)이 있다. 이 문에는 신문고를 설치했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는데 경국대전에는 ‘원통하고 억울함을 호소할 자는 소장을 내되 그래도 억울하다면 신문고를 두드리라’라고 신문고 치는 절차를 밝혀놨다.
일반 백성들이 이러한 절차를 다 밟기도 어려웠거니와 병사들이 지키고 있는 돈화문을 통과해 신문고를 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따라서 두드리기 힘든 신문고는 포기하고 왕의 행차에 뛰어들어 어려움을 호소하는 백성들이 많아져 조정의 골칫거리가 되기도 했다.

 

저작권자 © 한국아파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