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진흥재단 지원 기획]

‘전망이 밝다’는 평가를 듣는 주택관리사들에게도 크고 작은 어려움이 있다. 그중 첫손에 꼽히는 문제가 주택관리사 수가 너무 많다는 점이다. 

현재까지 배출된 자격자는 6만2000여 명인데 의무관리 단지 수는 1만8000개 정도에 불과하다. 산술적으로 3.4대 1 이상의 경쟁률을 뚫어야만 취업이 가능한 구조다. 게다가 신규합격자는 기존의 누적된 대기자와 경쟁해야 한다. 취업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이유다.

주택관리사 자격증은 오로지 관리사무소장이 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자격은 취업과 개업을 선택할 수 있지만 이 자격증은 그렇지 못하다. 

주택관리사들은 정부가 이런 특성과 한계를 감안해 배출자 수를 조절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몇 년을 준비해 어렵사리 자격시험에 합격했는데, 취업률이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현실이 심각한 부작용을 낳는다는 것이다.

서울의 아파트 단지에서 근무 중인 한 관리사무소장은 “일자리는 한정됐는데 합격자가 계속 쏟아져 나오니 경쟁이 격화될 수밖에 없고, 여기에서 취업비리가 발생한다”고 지적한다. 그는 “이런 일이 지속되면 소신 있게 본연의 업무에 충실하기보다 자리보전에 급급하게 돼 관리의 질이 하락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이뿐만이 아니다. 최근에는 고용불안정의 고통이 커지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1년 계약이 기본이었지만 최근에는 3개월짜리 초단기 근로계약서가 나돌고 있다. 많은 입주민을 접하며 민원을 감당하는 소장과 경비직에 유독 심하다. 이런 현상은 결국 과도한 취업경쟁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지적이다. 인천지역 한 소장은 “무엇보다 고용이 안정돼야 자기 능력을 제대로 펼쳐 보일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미 사회문제화된 입주민에 의한 업무방해, 폭력과 욕설 등 갑질은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다. 부산의 한 소장은 “관리사무소장은 수천 명의 입주민을 상전으로 모셔야 하는 자리”라며 “몰상식한 갑질은 과도하게 경직된 장기수선계획제도, 규정에도 없는 민원 등과 함께 아파트 관리종사자를 괴롭히는 주범”이라고 꼬집었다.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아파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