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집 식물상담소’ (신혜우 지음/브라이트)
‘이웃집 식물상담소’ (신혜우 지음/브라이트)

거실이나 아파트 발코니에서 멕시코산 몬스테라, 인도산 벤자민고무나무, 아프리카산 산세베리아 등을 많이 키운다. 모두 잎이 예쁜 열대식물로 한국인이 선호한다. 그렇지만 이들의 꽃과 열매를 본 적은 거의 없을 것이다. 

원래는 강한 햇빛과 높은 기온 속에서 거대하게 자랄 수 있지만 부족한 햇빛과 미지근한 온도에서는 더디게 큰다. 적합한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꽃도 열매도 꿈꿀 수 없다. 그만큼 우리는 식물을 잘 모른다는 말이다.

그림 그리는 식물학자, 식물을 연구하는 화가로 특이하게 ‘식물상담소’를 열고 있는 저자는 식물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식물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눈다. 이때 만나는 상담자들을 통해 덤으로 사람 사는 모습을 배운다. 

식물을 키우는 초보자가 가장 많이 실수하는 것이 분무기로 잎에 물을 뿌리는 것이다. 물을 뿌리면 촉촉하고 상쾌한 기분이 들지만 정말로 식물에 물을 주려면 뿌리에 줘야 한다. 육상식물은 뿌리가 물을 흡수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진화됐다. 그러니 구석구석 분무기로 물을 뿌리는 것보다 가끔 한 컵의 물을 흙에 부어주는 것이 훨씬 낫다. 

이전에는 나이가 들고 은퇴를 하고 나서야 식물에 눈을 뜨는 사람이 많았지만, 요즘은 그 연령층이 급속하게 낮아지고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먹고 사는 문제로 진로 고민을 하는 청춘들이 불안에 시달리기 때문이다. 

식물애호가가 되는 가장 빠른 방법은 식물을 세심하게 관찰하면서 그림을 그리는 것이다. 하루하루 커가는 식물의 모습과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모습을 오랜 시간 같이 하면 식물학자, 환경론자, 자연보호자의 자질이 자연스럽게 길러진다. 

언제부터인지 몰라도 식물 도둑질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희귀식물이나 돌연변이 식물은 암암리에 비싼 값에 팔린다. 이름난 식물원에서도 식물을 뽑아가는 경우가 많아 다시 심는 비용이 꽤 크다고 한다. 

가끔은 서식지 외 보전을 위해 심어놓은 멸종 위기종을 훔쳐 가는 심각한 상황도 발생한다. 저자는 평생을 함께하는 반려식물이 어느 순간 지나친 소유욕과 값비싼 물건으로 변했다고 말한다. 

토종 쌀, 토종 옥수수 등의 단어는 오래전부터 있었던 야생종이라는 의미로 왠지 건강하게 들린다. 하지만 친근한 자생 식물 중엔 우리나라 식물이 많지 않다. 많은 외래식물이 처음에는 정원 식물이었다가 어떤 계기로 야생으로 뛰쳐나가 침입종이 되고 이후 터를 잡아 귀화식물이 된다. 

예뻐서 심었는데 생태계를 파괴하는 식물로 낙인을 찍지만, 식물은 생존에 최선을 다했을 뿐이다. 최근에는 국적도 다양한 새로운 식물 침략종이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하지만 식물에게는 국경도 죄도 없다. 마음대로 옮기고 외래종, 침입종, 귀화식물 딱지를 붙인 것은 인간이다. 

식물도 분명 자라고 움직이고 있지만 재빠른 동물보다는 움직임이 적어 수동적 존재로 여겨진다. 그러니 식물인간, 식물정부, 식물국회라는 용어로 비하한다. 하지만 알고 보면 식물은 명민하고 역동적이다. 잡초는 물론 죽이려 노력했던 식물이 끝까지 살아남고, 잘린 나뭇가지나 잎 한 조각에서 놀라운 생명력으로 뿌리를 내리기도 한다. 

핸드폰을 꺼내 들면 길가의 꽃과 식물을 곧바로 확인하는 시대에 살고 있지만, 우리 곁의 수많은 식물 이야기는 여전히 신비롭고 무궁무진하다. 

저작권자 © 한국아파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